이렇게까지 한다구요? 🫢 연예인도 이제 크리에이터처럼! 연예인 채널 PPL 퍼포먼스 분석

유튜브에 대한 모든 것이 궁금하신가요? 🤫
지금 [주간유광기] 뉴스레터를 구독하면 주 1회 무료로 유튜브 트렌드를 받아보실 수 있어요!
연예인의 ‘크리에이터화’? 날것의 매력으로 사람들을 모은다!
유튜브가 큰 인기를 끌었던 이유 중 하나는 공중파 방송과는 달리 ‘날것의 매력’을 더 자극적으로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인데요!
그런데도 크리에이터가 아닌 연예인 채널들은 그동안 주로 무대 위 이미지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깔끔하게 연출된 토크쇼나 브이로그, 혹은 활동 홍보용 콘텐츠가 대부분이었죠.
하지만 최근 연예인 채널에서 눈에 띄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바로 ‘솔직하면서도 거친 모습’이에요. 여기서 말하는 거침이란 행동이 과격하거나 자극적이라는 뜻이 아니라 꾸밈없는 생각과 개성을 과감하게 드러내는 태도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발라드 가수 로이킴이 채널 로이킴상우를 통해 보여주는 다소 엉뚱한 모습이나, 에픽하이가 그룹 활동 중의 솔직한 뒷이야기를 가감 없이 털어놓는 장면들은 기존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매력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죠.
이런 흐름은 연예인도 점차 ‘크리에이터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수많은 경쟁 콘텐츠와 자극적인 형식이 난무하는 유튜브 환경 속에서 연예인 역시 자연스럽게 크리에이터의 언어와 문법을 배워가고 있는 셈입니다.
이 변화에는 또 다른 이유도 있습니다. 바로 시청자와의 거리감 좁히기예요. 방송이나 무대에서는 스타와 팬 사이에 일정한 장벽이 존재하지만 유튜브에서는 카메라 앞에서 솔직하게 털어놓는 순간 그 장벽이 허물어집니다. 시청자는 연예인의 화려한 모습뿐 아니라 인간적인 고민이나 약점까지 접하게 되면서 단순한 팬이 아니라 구독자이자 친구 같은 관계로 더 가까워지게 되죠.
마지막으로, 이러한 솔직함은 채널 퍼포먼스 측면에서도 긍정적입니다. 시청자들이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면모는 ‘신박함’을 주고, 비슷비슷한 연예인 채널의 틀에서 벗어나게 만듭니다. 다양한 편집 기법과 형식을 실험할 수 있는 공간이 되면서 브랜드 입장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PPL을 시도할 수 있는 채널로 자리매김할 수 있죠.
결국 연예인의 크리에이터화는 단순히 ‘스타가 유튜브에 들어왔다’는 수준을 넘어서 시청자와의 관계 재정립과 퍼포먼스 강화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얻고 있는 셈입니다.
로이킴상우 (roykimsangwoo) - 왜 이렇게까지 하는 거예요 ㅠㅠ

로이킴상우 채널은 일상 & 라이프스타일 브이로그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월간 구독자가 6만 명 이상 늘어나며 440% 이상 증가율을 기록했는데, 이는 ‘솔직하고 꾸밈없는 모습’이 시청자에게 신선하게 다가갔기 때문입니다. 실제 집이나 피부과 방문 같은 현실적인 장면, 그리고 기존 발라드 가수 이미지와 상반된 코믹한 모습이 화제를 끌며 구독자 유입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평균 영상 길이가 6분 이상으로 비교적 짧은 롱폼 브이로그임에도 구독자 대비 조회수 비율이 270% 이상에 달해 충성도 높은 시청자층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직 광고 협업 이력은 없지만 라이프스타일 브이로그 특성을 활용하면 건강식품, 피트니스, 여행, 패션 등 다양한 브랜드가 자연스럽게 녹아들 수 있습니다. 더불어 피트니스·다이어트 관련 쇼츠를 통한 추가 유입까지 고려하면, 향후 PPL 적합도가 높은 채널로 성장할 가능성이 큽니다.
효연의 레벨업 (Hyo's Level Up) - 솔직한 성장캐로 보여주는 ‘효연’

효연의 레벨업 채널은 엔터테인먼트 롱폼 콘텐츠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1년간 구독자가 9만7천 명 증가하며 126%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소녀시대 효연의 스타성과 솔직하고 엉뚱한 실제 매력이 결합되며 새롭게 소비된 결과입니다. 특히 최근 구독자의 성장은 ‘가짜 김효연 - 보컬편’은 SNS 숏폼으로도 확산되며 구독자 유입에 큰 역할을 했습니다.

데이터상으로도 광고 효과가 뚜렷합니다. 일반 영상 대비 평균 조회수가 117%, 광고 영상은 무려 234%를 기록하며 PPL 적합도가 높은 채널로 평가됩니다.
콘텐츠 포맷 또한 다양해 음악 활동과 예능형 협업뿐 아니라 토크쇼 형식의 롱폼까지 소화하며 브랜드 메시지를 장시간 자연스럽게 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갖췄습니다. 실제 협업 브랜드 역시 요거트, 농심, 코카콜라, 하이트진로 등 대중 친화적 소비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PPL 범용성이 높은 점도 강점입니다.
에픽하이 (Epik High) - 미친듯한 케미로, 미친 PPL 조회수를!
에픽하이 채널은 음악과 예능을 넘나드는 멀티 포맷 채널로 멤버들의 케미스트리가 강점입니다. 최근 1년간 구독자가 44만 명 증가하며 51% 성장률을 기록했고, 평균 영상 길이도 17분 이상으로 브랜드 메시지를 담아내기에 충분합니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PPL 광고 퍼포먼스입니다. 최근 협업 브랜드 영상의 평균 조회수가 68만 회로 일반 영상 평균(27만 회)을 크게 웃돌아, 브랜드 협업 효과가 탁월하다는 걸 보여줍니다. 실제로 LG전자, 롯데엔터테인먼트, 다이죠 등 굵직한 기업들이 협업한 바 있으며, 영상이 가진 평균 17분 이상의 길이가 브랜드 메시지 전달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오디언스 분석에 따르면 시청자의 79%가 여성이고, 18~34세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해 Z세대·MZ세대 여성 타깃 마케팅에 특히 강점을 보입니다.
음악, 토크쇼, 브이로그까지 다양한 형식을 소화하며 광고주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는 범위가 넓다는 것도 에픽하이 채널의 강력한 매력입니다.
연예인 채널들이 최근 보여주는 변화는 단순히 ‘유튜브에 들어온 스타’가 아니라, 크리에이터처럼 솔직하고 거친 매력으로 사람들과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로이킴상우는 날 것 그대로의 현실적 브이로그로, 효연은 성장 과정을 유쾌하게 담아내는 시리즈로, 에픽하이는 예능급 케미와 음악을 결합한 멀티 포맷으로 팬덤을 넘어 구독자와 시청자를 확실히 사로잡고 있죠.
이들의 공통점은 분명합니다. 꾸며진 무대가 아니라 일상 속에서 솔직함을 드러낼 때 채널은 더 빠르게 성장하고, PPL 퍼포먼스 역시 높아진다는 것. 즉, 브랜드 입장에서는 전통적인 광고 문법보다 연예인의 인간적인 순간과 맥락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방식이 더 효과적이라는 인사이트를 줍니다.
그리고 이런 채널들을 발굴하고 분석하는 데 강력한 무기가 바로 유광기입니다.
유광기를 활용하면 “최근 3개월간 빠르게 성장한 연예인 채널은 어디일까?”, “어떤 채널이 PPL 효과가 더 좋은가?” 같은 질문에 즉시 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덕분에 마케터는 단순히 ‘스타 마케팅’이 아닌 데이터 기반으로 성공적인 유튜브 PPL 전략을 설계할 수 있게 되는 거죠.
지금 바로 유광기를 성공할 수 있는 유튜브 PPL을 시작해보세요!
다른 아티클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
- 숏폼은 끌고, 롱폼은 붙잡는다! 급성장한 롱폼 채널, 브랜드는 왜 몰릴까?
- 언박싱 vs 브이로그, FW 시즌 패션 유튜버 협찬의 정답은?
- 비레디·다슈·오브제… 남자 뷰티를 키운 크리에이터 전략 A to Z
- 100만 유튜버, 이제는 AI가 만든다! 마케터가 주목할 AI 채널 TOP3
- 영상 하나로 올리브영 랭킹 50계단 상승? 뷰티 업계 유튜브 PPL
갓 유명해진 유튜버, 특정 유튜버 DB 등
유튜브의 모든 것이 궁금하다면 ‘유광기'를 확인해보세요!